본문 바로가기
생활 팁

청소년 교통비 지원제도, 얼마나 받을 수 있고 어떻게 신청할까?

by 하우투방법 2025. 5. 29.
반응형

청소년 교통비 지원제도

버스나 지하철 요금이 꾸준히 오르면서, 통학이나 통원 치료를 위해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청소년 가정의 교통비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를 덜어주기 위해 여러 지자체에서는 청소년 교통비 지원제도를 시행 중이며, 2025년에도 많은 지역에서 확대 운영될 예정입니다.

하지만 지역마다 신청 방법과 지원 방식이 달라 헷갈리기 쉬운 제도이기도 하죠. 지금부터 청소년 교통비 지원을 받기 위한 조건, 신청 방법, 유용한 팁까지 정리해드릴게요.

청소년 교통비 지원제도, 얼마나 받을 수 있고 어떻게 신청할까?

대상: 만 13세~23세 청소년, 소득 기준 없이 신청 가능

지원 대상은 보통 만 13세부터 23세까지의 청소년 및 청년으로, 중학생부터 대학생까지 폭넓게 포함됩니다. 대부분 소득 조건이 없거나 완화되어 있어 누구나 신청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

단, 거주지에 따라 연령 범위나 적용 대상(예: 대학생 포함 여부)이 다를 수 있으므로 지자체별 안내 공고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지원 방식: 교통카드 이용액 환급 or 포인트 지급

청소년 교통비 지원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제공됩니다.

  • 1. 후불 교통카드 이용액 환급
    일정 기간(예: 반기 또는 분기) 동안 사용한 대중교통 요금 일부를 현금 또는 계좌로 환급받는 방식입니다.
  • 2. 선불 포인트 지급
    신청 후 교통카드에 정액 포인트(예: 3만~5만 원)를 충전해주는 지역도 있습니다. 이는 지자체 제휴 카드로만 사용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서울, 경기, 인천, 광주, 부산 등 주요 도시들은 청소년 요금 기준으로 월 최대 1~2만 원 수준의 환급을 제공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은 통학 목적이 아닐 경우 제외되기도 합니다.

신청 방법: 지역 교통 포털 또는 복지로 이용

신청은 각 지자체의 교통비 지원 전용 홈페이지 또는 복지로(www.bokjiro.go.kr)에서 가능하며, 공통적으로 아래 서류가 필요합니다.

  • 본인 또는 보호자의 신분증
  • 교통카드 등록번호
  • 본인 명의 계좌 또는 보호자 계좌
  • 학생증, 재학증명서 등 (일부 지역)

일반적으로 상반기, 하반기로 나눠 연 2회 신청을 받고, 신청 시기는 매년 12월, 78월경이 가장 많습니다. 문자 알림 서비스를 신청하면 놓치지 않고 챙길 수 있어요.

 

직장인 통장 선택, 이 3가지만 보면 끝

‘그냥 회사에서 지정한 은행 쓰고 있어요.’ 직장인들 중 상당수가 월급통장을 이렇게 선택합니다. 하지만 알고 보면 은행마다 급여이체 실적을 기반으로 주는 혜택이 천차만별이고, 이왕이면

howto-rich.tistory.com

꿀팁: 교통카드 실적 자동 누적, 등록만 해두세요

많은 부모님들이 “우리 애는 신청 안 했는데도 환급 문자 받았어요”라고 말하곤 합니다. 이는 사전 등록만 해두면 이후 실적이 자동 누적되는 시스템 덕분입니다. 그러니 처음 한 번만 등록해두면, 이후엔 별다른 입력 없이도 환급 대상이 되니 꼭 등록하세요.

또한 일부 지역은 지방세·수도세 감면 등 타 복지제도와 연계되어 있으므로, 교통비 외 지원도 함께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교통비 환급은 현금으로 받을 수 있나요?
A. 대부분 지역은 보호자 계좌 또는 본인 명의 계좌로 현금 환급되며, 일부는 지역화폐나 포인트로 지급됩니다.

Q. 재학 중이 아니면 못 받나요?
A. 지역에 따라 다르며, 대부분은 통학 목적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합니다. 일부 지역은 재학 여부와 관계없이 신청 가능하기도 합니다.

Q. 교통카드가 없으면 어떻게 하나요?
A. 후불 교통 기능이 있는 카드 또는 모바일 티머니 앱 등을 미리 발급받아야 하며, 카드 등록 후 실적이 집계됩니다.

Q. 장애 청소년도 중복 신청할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단, 장애인 교통비 감면과 중복 수령 여부는 지자체 기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댓글